생산자이론의 기본개념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우선 생산자이론부터 난이도가 어려워지므로 기본적인 소비자이론을 한번 더 살피고 오시는걸 추천드립니다. 물론 뒤에서 한번 더 정리하고 가도록 하겠습니다. 그만큼 소비자이론을 알아야 생산자이론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.
1. 생산이란?
생산 : 생산요소(노동, 자본 등)을 투입하여 재화나 서비스를 창출해 후생을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.
장기와 단기구분 : 생산은 단기에는 노동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지만 자본은 크게 변화하지 않습니다. 여기서 자본은 기계나 공장설비를 말하며 단기에는 거의 조정이 안되기때문에 미시경제학에서는 단기에는 고정요소로 계산합니다.
노동한계생산(MPL) : 노동 1단위 투입당 생산물의 변화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.
노동평균생산(APL) : 노동 1단위당 평균 생산량을 나타냅니다.(APL=Q/L)
생산의 특성 : 생산량은 일정구간동안 증가하다가 체감하는 경향을 보입니다.(한계생산물체감, 수확체감의 법칙)
2. 등량곡선 - 생산의 무차별곡선
수요에서 동일한 효용을 주는 무차별곡선이 있듯이 생산에서도 같은 생산량을 산출하는 노동과 자본의 무차별곡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. 마찬가지로 소비자이론에서 배웠던 한계대체율처럼 동일한 생산수준을 유지하면서 노동 한 단위를 증가시켰을때 포기하는 자본을 나타내는 한계기술대체율(Marginal rate of technical substitution: MRTS)이 있습니다.
※ 등량곡선은 기술이 진보하면 원점으로 이동합니다.(기술진보로 인해서 생산에 드는 노동과 자본이 감소하므로)
대체탄력성 : 생산과정에서 한 생산요소가 다른 생산요소로 얼마나 대체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써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. 대체탄력성의 분자는 생산요소의 투입비율의 변화율, 분모는 한계기술대체율의 변화율로써 대체탄력성이 크다는 것은등량곡선의 기울기변화에 따른 생산요소투입비율이 크다는 것을 말합니다.(highly substitutable)
대체탄력성에 대해 자세히 공부하러 가기 : http://economia.tistory.com/75
3. 등비용선(equal cost line)
같은비용이 드는 자본과 노동의 투입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. 소비자이론의 예산선과 비교하며 공부하시길 바랍니다. wL+rk=C이며 예산선과 같은 모양으로 그려집니다. 실수로 그림을 안그렸어요 ㅠㅠ
'경제금융 > 미시경제학 정리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미시경제학 정리노트] 단기생산함수 (2) | 2015.12.21 |
---|---|
[미시경제학 정리노트] 소비자이론과 생산자이론의 비교 (0) | 2015.11.30 |
[미시경제학 정리노트] 예산선, 소득소비곡선(ICC)와 가격소비곡선(PCC) (2) | 2015.11.08 |
[미시경제학 정리노트] 수요의 소득탄력성과 교체탄력성 (3) | 2015.11.01 |
[미시경제학 정리노트] 무차별곡선과 한계대체율 + 특수한 무차별곡선 (0) | 2015.10.21 |